안녕하세요! 오늘 아침의 키르기스스탄 음악 학습 시간입니다. 오늘은 키르기스스탄의 음악 중에서 음악 장비, 즉 키르기스스탄의 전통 악기들에 대해 깊이 있게 알아보겠습니다. 아침 시간에 배우는 이 내용이 하루 종일 여러분의 마음에 키르기스스탄의 아름다운 선율로 가득 차는 데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키르기스스탄의 음악은 유목민의 삶, 드넓은 초원, 웅장한 산맥, 그리고 깊은 영혼이 깃든 이야기와 불가분의 관계를 맺고 있습니다. 그리고 이 모든 것을 표현하는 매개체가 바로 전통 악기들입니다. 이 악기들은 단순한 도구가 아니라, 키르기스인의 역사와 감정, 자연과의 교감을 담아내는 살아있는 목소리라고 할 수 있습니다. 마치 오랜 친구처럼 키르기스인들의 기쁨과 슬픔을 함께 나누며 그들의 삶 속에 깊이 뿌리내려 있습니다.
자, 그럼 이제 키르기스스탄의 다채로운 음악 세계로 떠나볼 준비가 되셨나요? 각 악기들이 어떤 소리를 내고, 어떻게 만들어지며, 키르기스 문화에서 어떤 의미를 지니는지 함께 탐험해 보겠습니다.
---
### **키르기스스탄 음악의 심장: 현악기 (현악기)**
키르기스스탄의 현악기는 그야말로 키르기스 음악의 핵심이자 영혼입니다. 이 악기들은 드넓은 초원의 바람 소리, 말발굽 소리, 그리고 인간의 깊은 감정을 섬세하게 표현해냅니다.
#### **1. 코무즈 (Комуз - Komuz): 키르기스 음악의 상징이자 영원한 친구**
키르기스스탄의 악기 중 가장 대표적이고 상징적인 악기를 꼽으라면 단연 **코무즈(Комуз)**입니다. 코무즈는 키르기스스탄을 대표하는 국기에도 그 형상이 그려져 있을 정도로 키르기스인들의 삶과 문화에 깊숙이 자리 잡고 있습니다. 코무즈는 단순한 악기를 넘어, 키르기스인의 정체성을 담고 있는 상징이자, 오랜 세월 동안 그들의 기쁨과 슬픔을 함께 해온 '영원한 친구'와 같습니다.
**생김새와 재료:**
코무즈는 보통 세 줄의 현을 가진 현악기로, 조롱박이나 서양 배처럼 둥글고 불룩한 몸통과 길고 가는 목을 가지고 있습니다. 몸통과 목은 주로 살구나무, 자두나무, 호두나무, 또는 노간주나무(아르차)와 같은 단단하고 향기로운 나무를 통째로 깎아 만듭니다. 나무의 종류에 따라 코무즈가 내는 소리의 울림과 음색이 미묘하게 달라진다고 합니다. 특히 살구나무로 만든 코무즈는 그 소리가 맑고 깊어 많은 연주자들이 선호합니다. 흥미로운 점은 코무즈에 프렛(fret), 즉 음정을 구분하는 쇠막대가 없다는 것입니다. 연주자는 왼손 손가락으로 직접 현을 눌러 음정을 조절하며, 이는 연주자에게 더 넓은 표현의 자유를 주지만 동시에 높은 숙련도를 요구합니다. 세 개의 현은 과거에는 동물의 창자나 힘줄로 만들었으나, 현대에는 주로 나일론 줄을 사용합니다.
**연주 방법과 소리:**
코무즈는 손가락으로 현을 뜯어서 연주하는 발현악기(撥絃樂器)입니다. 기타와 비슷하게 보일 수 있지만, 프렛이 없어 연주 기술이 매우 다릅니다. 연주자는 현을 뜯고, 튕기고, 때로는 손톱으로 긁는 등 다양한 기법을 사용하여 다채로운 소리를 만들어냅니다. 코무즈의 소리는 매우 독특하고 매력적입니다. 때로는 맑고 경쾌하게 초원을 달리는 말의 모습을 그리기도 하고, 때로는 깊고 애잔하게 유목민의 고독과 그리움을 노래하기도 합니다. 다양한 음색과 표현력을 가지고 있어 독주 악기로서의 매력은 물론, 노래의 반주나 앙상블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문화적 의미와 역할:**
코무즈는 키르기스인의 일상생활과 의례, 그리고 예술 전반에 걸쳐 광범위하게 사용됩니다.
* **서사시 '마나스(Манас)'의 동반자:** 키르기스스탄의 구전 서사시 '마나스'는 세계에서 가장 긴 서사시 중 하나로, '마나스치(Манасчы)'라고 불리는 이야기꾼들이 코무즈 반주에 맞춰 서사시를 읊습니다. 코무즈의 선율은 영웅 마나스의 용맹함과 키르기스인의 역사를 더욱 생생하게 전달합니다.
* **사회적 교류와 축제:** 코무즈는 친구들 간의 모임, 가족 잔치, 결혼식, 그리고 다양한 축제에서 빠질 수 없는 악기입니다. 사람들은 코무즈 소리에 맞춰 춤을 추고 노래하며 함께 즐거워합니다.
* **자연과의 교감:** 유목민들은 코무즈를 통해 자연의 소리, 즉 바람 소리, 새소리, 물 흐르는 소리 등을 모방하여 자연과의 교감을 표현했습니다. 이는 코무즈 음악에 깊은 서정성과 자연 친화적인 아름다움을 부여합니다.
* **감정의 표현:** 코무즈는 기쁨, 슬픔, 사랑, 그리움 등 인간의 모든 감정을 표현하는 데 사용됩니다. 연주자의 손끝에서 흘러나오는 선율은 듣는 이의 마음을 움직이는 강한 힘을 가지고 있습니다.
코무즈는 키르기스스탄의 음악 교육에서도 매우 중요하게 다루어지며, 젊은 세대에게도 그 전통이 계속해서 이어지고 있습니다.
#### **2. 킬 키약 (Кыл кыяк - Kyl Kyiak): 초원의 울림을 담은 활현악기**
**킬 키약(Кыл кыяк)**은 키르기스스탄의 또 다른 중요한 현악기로, 코무즈와는 다른 독특한 음색과 연주 방식을 가지고 있습니다. '킬(Кыл)'은 '말총'을, '키약(Кыяк)'은 '활'을 의미하며,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말총으로 만든 현과 활을 사용하는 악기입니다. 바이올린과 비슷한 활을 사용하는 악기이지만, 그 소리와 형태는 매우 다릅니다.
**생김새와 재료:**
킬 키약은 주로 한 조각의 나무(주로 살구나무, 노간주나무)를 깎아 만듭니다. 몸통은 코무즈보다 훨씬 단순하게 생겼으며, 위쪽은 열려 있고 아래쪽은 동물의 가죽(주로 낙타나 염소 가죽)으로 덮여 있습니다. 두 줄의 현은 말총으로 만들어지며, 활 역시 말총으로 만들어진 활을 사용합니다. 활은 현 사이에 끼워서 연주하는 방식이 많습니다. 악기 머리 부분은 종종 말 머리 모양으로 조각되어 있는데, 이는 말에 대한 키르기스인들의 깊은 애정과 숭배를 보여줍니다.
**연주 방법과 소리:**
킬 키약은 활로 현을 문질러 소리를 내는 활현악기입니다. 연주자는 악기를 세로로 세워 무릎 사이에 끼고 연주하며, 활을 현 사이에 넣어 문지릅니다. 손가락으로 현을 눌러 음정을 조절하는데, 프렛이 없는 코무즈처럼 숙련된 기술이 필요합니다. 킬 키약의 소리는 깊고 애잔하며, 때로는 사람의 목소리나 말의 울음소리를 연상시킵니다. 코무즈가 비교적 밝고 경쾌한 소리를 낸다면, 킬 키약은 좀 더 어둡고 신비로운, 그리고 슬픈 감정을 표현하는 데 탁월합니다. 마치 드넓은 초원을 가로지르는 바람 소리나, 밤하늘 아래 유목민의 외로운 마음을 담아내는 듯합니다.
**문화적 의미와 역할:**
킬 키약은 키르기스인의 영적인 세계와 깊이 연결되어 있습니다.
* **샤머니즘과의 연관성:** 고대에는 샤먼(박수무당)들이 의례에서 킬 키약을 연주하며 영혼과 소통하고 병을 치료했다고 전해집니다. 그 신비롭고 영적인 소리는 사람들의 마음을 진정시키고 초자연적인 힘을 불러오는 데 사용되었습니다.
* **서사시와 이야기:** 킬 키약은 서사시 '마나스'를 비롯한 다양한 이야기와 민요를 연주하는 데 사용되었습니다. 특히 슬픈 내용이나 영웅의 고뇌를 표현할 때 그 진가를 발휘합니다.
* **자연의 소리 모방:** 킬 키약 연주자들은 말의 울음소리, 늑대의 울음소리, 새들의 지저귐 등 자연의 다양한 소리를 모방하여 연주하기도 합니다. 이는 킬 키약이 키르기스인의 자연 친화적인 삶을 반영하는 악기임을 보여줍니다.
* **여성 연주자:** 코무즈가 남성 연주자들에게 더 보편적이었다면, 킬 키약은 전통적으로 여성 연주자들 사이에서도 인기가 많았습니다. 그 섬세하고 감성적인 소리는 여성의 감정을 표현하는 데 적합했습니다.
킬 키약은 키르기스스탄의 풍부한 음악적 유산을 보여주는 중요한 악기이며, 오늘날에도 많은 연주자들이 이 악기의 전통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
### **키르기스스탄 음악의 숨결: 관악기 (관악기)**
키르기스스탄의 관악기는 주로 자연에서 얻은 재료로 만들어지며, 유목민의 삶과 자연의 소리를 담아냅니다. 바람을 통해 소리를 내는 이 악기들은 드넓은 초원에 울려 퍼지는 멜로디를 선사합니다.
#### **1. 추르 (Чоор - Choor): 목동의 정취가 담긴 플루트**
**추르(Чоор)**는 키르기스스탄의 전통적인 목관악기로, 길쭉한 형태의 플루트와 비슷합니다. 주로 목동들이 양 떼를 돌보며 연주했던 악기로, 그 소리에는 드넓은 초원의 평화로움과 목동의 정취가 담겨 있습니다.
**생김새와 재료:**
추르는 주로 갈대, 대나무, 또는 나무로 만들어집니다. 길이는 다양하지만 보통 30cm에서 60cm 정도이며, 몸통에는 몇 개의 손가락 구멍이 뚫려 있습니다. 한쪽 끝을 입술에 대고 불어서 소리를 내는 '피리' 형태의 악기입니다.
**연주 방법과 소리:**
추르는 입으로 바람을 불어넣어 소리를 내는 악기입니다. 손가락으로 구멍을 막고 열면서 음정을 조절합니다. 추르의 소리는 맑고 청아하며, 때로는 약간 허스키하고 구슬픈 느낌을 주기도 합니다. 마치 바람이 풀밭을 스쳐 지나가는 소리나, 멀리서 들려오는 새소리처럼 자연 친화적인 멜로디를 만들어냅니다. 단순해 보이지만 숙련된 연주자는 매우 복잡하고 아름다운 선율을 연주할 수 있습니다.
**문화적 의미와 역할:**
추르는 주로 독주 악기로 사용되며, 목가적인 풍경과 유목민의 일상생활을 묘사하는 데 적합합니다.
* **목동의 동반자:** 목동들은 추르를 연주하며 외로움을 달래고, 양 떼를 모으거나 방향을 지시하는 데 사용하기도 했습니다. 추르 소리는 목동에게는 친구이자, 양 떼에게는 익숙한 신호였습니다.
* **자연의 소리:** 추르는 자연의 소리, 예를 들어 바람 소리, 물 흐르는 소리, 새소리 등을 모방하여 연주하는 데 많이 사용되었습니다.
* **명상과 휴식:** 맑고 잔잔한 추르의 선율은 사람들에게 평화와 휴식을 가져다주며, 명상적인 분위기를 조성하는 데도 사용되었습니다.
추르는 키르기스스탄의 자연과 삶의 여유를 담고 있는 아름다운 악기입니다.
#### **2. 수르나이 (Сурнай - Surnai): 축제와 환희의 소리**
**수르나이(Сурнай)**는 키르기스스탄뿐만 아니라 중앙아시아 전역에서 널리 사용되는 더블 리드(double reed) 악기입니다. 웅장하고 큰 소리를 내어 주로 야외 행사나 축제에서 사용됩니다.
**생김새와 재료:**
수르나이는 원뿔형의 목재 몸통과 끝에 붙어있는 금속 벨(bell)이 특징입니다. 몸통에는 여러 개의 손가락 구멍이 있으며, 입으로 부는 부분에는 두 개의 갈대 조각으로 만들어진 리드(reed)가 있습니다. 리드를 통해 소리를 내는 방식은 서양의 오보에나 바순과 유사합니다.
**연주 방법과 소리:**
수르나이는 리드를 입에 물고 강하게 불어서 소리를 냅니다. 그 소리는 매우 크고 날카로우며, 때로는 약간 시끄럽게 느껴질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동시에 매우 활기차고 역동적인 에너지를 가지고 있습니다. 주로 빠르고 경쾌한 멜로디를 연주하는 데 사용되며, 앙상블에서 주 멜로디를 담당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문화적 의미와 역할:**
수르나이는 주로 축제, 결혼식, 씨름 대회, 경마 등 대규모 야외 행사에서 사람들의 흥을 돋우는 역할을 합니다.
* **축제의 상징:** 수르나이 소리가 울려 퍼지면 축제가 시작되었음을 알리는 신호와 같습니다. 그 소리는 사람들을 모으고, 흥겨운 분위기를 조성하며, 함께 즐기도록 유도합니다.
* **행진 음악:** 과거에는 군악대나 중요한 인물의 행진에 사용되기도 했습니다.
* **앙상블 연주:** 수르나이는 도올바스(드럼)와 같은 타악기와 함께 연주될 때 그 효과가 극대화됩니다. 강렬한 리듬과 웅장한 멜로디가 어우러져 사람들을 열광시킵니다.
수르나이는 키르기스스탄의 활기찬 축제 문화와 환희를 상징하는 악기입니다.
---
### **키르기스스탄 음악의 리듬과 영혼: 타악기 및 독특한 악기 (타악기 및 독특한 악기)**
키르기스스탄의 타악기는 음악에 생동감 넘치는 리듬을 더하며, 독특한 악기들은 키르기스 음악의 다양성을 보여줍니다.
#### **1. 도올바스 (Доолбас - Doolbas): 리듬의 심장, 전통 드럼**
**도올바스(Доолбас)**는 키르기스스탄의 전통적인 타악기, 즉 드럼입니다. 주로 축제나 의례에서 음악에 활기찬 리듬을 더하는 역할을 합니다.
**생김새와 재료:**
도올바스는 나무로 만든 원형 몸통에 동물의 가죽(주로 염소나 낙타 가죽)을 씌워 만듭니다. 크기는 다양하며, 작은 것은 손으로 들고 연주할 수 있고 큰 것은 바닥에 놓고 연주합니다. 막대나 손으로 가죽을 쳐서 소리를 냅니다.
**연주 방법과 소리:**
도올바스는 주로 나무 막대나 손으로 가죽을 두드려서 소리를 냅니다. 그 소리는 크고 울림이 있으며, 음악에 강력한 리듬감을 부여합니다. 단순한 박자부터 복잡한 리듬 패턴까지 다양하게 연주될 수 있습니다.
**문화적 의미와 역할:**
도올바스는 수르나이와 함께 축제 음악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며, 사람들의 흥을 돋우는 데 필수적인 악기입니다.
* **축제와 의례:** 결혼식, 명절, 스포츠 행사 등 다양한 축제에서 연주되며, 사람들을 춤추게 하고 흥겹게 만듭니다.
* **리듬의 기반:** 앙상블 연주에서 도올바스는 음악의 리듬적 기반을 제공하며, 다른 악기들의 연주를 이끌어가는 역할을 합니다.
* **경고와 신호:** 과거에는 마을에 위험을 알리거나, 사람들을 모으는 신호로 사용되기도 했습니다.
도올바스는 키르기스스탄 음악의 심장 박동과 같은 역할을 하는 악기입니다.
#### **2. 테미르 코무즈 / 오오즈 코무즈 (Темир комуз / Ооз комуз - Temir Komuz / Ooz Komuz): 입으로 연주하는 신비로운 하프**
**테미르 코무즈(Темир комуз)** 또는 **오오즈 코무즈(Ооз комуз)**는 키르기스스탄에서 매우 독특하고 흥미로운 악기입니다. '테미르(Темир)'는 '철'을, '오오즈(Ооз)'는 '입'을 의미하며,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금속이나 나무로 만들어 입으로 연주하는 악기입니다. 서양의 '조 하프(Jew's Harp)'와 유사합니다.
**생김새와 재료:**
테미르 코무즈는 주로 얇은 철이나 구리로 만들어지며, 말발굽 모양의 프레임 안에 얇고 탄력 있는 금속 혀(reed)가 달려 있습니다. 나무로 만든 것은 **지가치 오오즈 코무즈(Жыгач ооз комуз - Jygach Ooz Komuz)**라고 불립니다. 크기는 손바닥 안에 들어올 정도로 작습니다.
**연주 방법과 소리:**
연주자는 테미르 코무즈의 프레임을 입술에 대고, 금속 혀를 손가락으로 튕깁니다. 이때 입안의 공간을 공명통으로 사용하여 소리를 증폭시키고, 혀의 위치와 숨을 조절하며 다양한 음색과 음정을 만들어냅니다. 테미르 코무즈의 소리는 매우 독특하고 신비롭습니다. 웅웅거리는 듯한 저음에서부터 고음의 영롱한 소리까지, 마치 벌이 윙윙거리는 소리나 물방울이 떨어지는 소리처럼 들리기도 합니다. 공기와 입안의 울림을 이용하기 때문에 연주자의 호흡과 입 모양에 따라 무궁무진한 소리를 만들어낼 수 있습니다.
**문화적 의미와 역할:**
테미르 코무즈는 주로 독주 악기로 사용되며, 명상적이거나 자연의 소리를 모방하는 데 많이 활용됩니다.
* **개인적인 연주:** 작고 휴대하기 편리하여 유목민들이 이동 중에, 또는 혼자 있을 때 자주 연주했습니다.
* **여성 연주자:** 전통적으로 여성 연주자들 사이에서 인기가 많았으며, 소녀들이 사랑하는 이에게 자신의 마음을 표현하는 악기로 사용되기도 했습니다.
* **자연과의 교감:** 바람 소리, 물방울 소리, 곤충 소리 등 자연의 다양한 소리를 모방하여 자연과의 깊은 교감을 표현했습니다.
* **치유의 음악:** 일부 전통에서는 테미르 코무즈의 신비로운 소리가 사람의 마음을 안정시키고 치유하는 데 도움이 된다고 믿기도 했습니다.
테미르 코무즈는 키르기스스탄 음악의 섬세함과 자연과의 교감을 보여주는 독특한 악기입니다.
#### **3. 아사-타약 (Аса-таяк - Asa-Taiak): 샤먼의 지팡이, 영적인 리듬**
**아사-타약(Аса-таяк)**은 키르기스스탄의 전통 악기 중에서도 특히 영적이고 주술적인 의미를 지닌 악기입니다. '아사(Аса)'는 '지팡이'를, '타약(Таяк)'은 '막대기'를 의미합니다.
**생김새와 재료:**
아사-타약은 길고 튼튼한 나무 지팡이로, 꼭대기나 몸통에 금속 고리, 방울, 깃털, 동물의 뼈나 이빨 등이 장식되어 있습니다. 이 장식물들은 흔들릴 때마다 소리를 내며, 각각 주술적인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연주 방법과 소리:**
아사-타약은 특별한 연주 기술이 필요하기보다는, 지팡이를 흔들거나 바닥에 두드리면서 장식물들이 부딪히고 울리며 소리를 냅니다. 흔들릴 때 나는 딸랑거리는 소리, 짤랑거리는 소리, 바닥에 부딪히는 둔탁한 소리 등이 복합적으로 어우러져 독특한 리듬과 분위기를 만들어냅니다.
**문화적 의미와 역할:**
아사-타약은 주로 샤먼(바흐시), 이야기꾼(마나스치), 또는 전통 의례를 주관하는 사람들이 사용했습니다.
* **샤먼의 도구:** 과거에는 샤먼들이 영혼과의 소통, 병의 치유, 미래 예언 등 주술적인 의례에서 아사-타약을 사용했습니다. 그 소리는 사람들을 최면에 걸리게 하고, 영적인 세계로 인도하는 역할을 했습니다.
* **리듬과 분위기 조성:** 서사시나 이야기를 읊을 때, 아사-타약은 이야기꾼의 목소리에 리듬을 더하고 극적인 분위기를 조성하는 데 사용되었습니다.
* **상징성:** 아사-타약은 단순한 악기를 넘어, 영적인 힘과 지혜, 그리고 전통을 상징하는 중요한 도구였습니다.
아사-타약은 키르기스스탄의 깊은 영적 전통과 구전 문화의 한 단면을 보여주는 악기입니다.
---
### **키르기스 악기의 제작과 정신: 자연과의 조화**
키르기스스탄의 전통 악기들은 대부분 자연에서 얻은 재료로 만들어집니다. 나무, 동물의 가죽, 말총, 동물의 뼈, 금속 등 주변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재료를 사용하여 악기를 만드는 과정은 단순한 기술을 넘어선 예술이자, 자연에 대한 깊은 존경심을 담고 있습니다.
* **나무:** 코무즈, 킬 키약, 추르, 수르나이 등 대부분의 악기는 살구나무, 호두나무, 노간주나무와 같은 단단하고 향기로운 나무로 만들어집니다. 나무를 고르는 과정부터 정성스러운데, 나무의 결, 나이테, 울림 등을 고려하여 신중하게 선택합니다.
* **동물 재료:** 킬 키약의 현과 활, 도올바스의 북면은 말총이나 동물의 가죽으로 만듭니다. 이는 유목민 생활에서 동물이 얼마나 중요한 존재였는지를 보여주며, 동물의 모든 부분을 소중히 활용하는 지혜를 담고 있습니다. 말총은 그 탄력성과 강도로 인해 현악기의 중요한 재료가 됩니다.
* **장인의 기술:** 악기를 만드는 장인들은 오랜 세월 동안 대대로 전해 내려오는 기술과 지혜를 사용하여 악기를 만듭니다. 악기 하나하나에 장인의 혼과 정성이 깃들어 있으며, 이는 악기가 단순한 소리 도구를 넘어 살아있는 예술품이 되게 합니다.
이러한 재료와 제작 과정은 키르기스스탄 사람들이 자연과 얼마나 밀접하게 연결되어 살아왔는지를 명확히 보여줍니다. 악기들은 자연의 소리를 모방하고, 자연의 재료로 만들어지며, 궁극적으로는 자연의 아름다움과 생명력을 찬양하는 도구가 됩니다.
---
### **마무리하며**
오늘 우리는 키르기스스탄의 다양한 전통 악기들을 통해 그들의 음악과 문화, 그리고 삶의 철학을 엿볼 수 있었습니다. 코무즈의 경쾌한 선율에서부터 킬 키약의 애잔한 울림, 추르의 평화로운 소리, 수르나이의 웅장함, 도올바스의 활기찬 리듬, 테미르 코무즈의 신비로움, 그리고 아사-타약의 영적인 공명까지, 각 악기들은 키르기스스탄의 다채로운 면모를 보여주었습니다.
이 악기들은 단순히 소리를 내는 도구가 아니라, 키르기스인들의 역사와 전통, 자연과의 교감, 그리고 깊은 감정을 담아내는 살아있는 증인입니다. 유목민의 삶 속에서 탄생하고 발전해 온 이 악기들은 오늘날에도 키르기스인의 정체성을 지키고 미래 세대에 전하는 중요한 문화유산으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여러분도 언젠가 키르기스스탄을 방문하게 된다면, 이 전통 악기들이 연주하는 소리에 귀 기울여 보세요. 그 소리 속에서 드넓은 초원의 바람 소리와 유목민의 따뜻한 마음을 느낄 수 있을 것입니다. 오늘 아침의 음악 이야기가 여러분에게 키르기스스탄 문화에 대한 새로운 시각과 흥미를 안겨주었기를 바랍니다. 다음 시간에는 또 다른 흥미로운 주제로 찾아뵙겠습니다. 즐거운 하루 되세요!
#키르기스스탄 #음악 #음악장비 #음악 #@C202509211105@